‘이것’ 100g 이면 비타민 1일 권장 섭취량 해결
수프나 샐러드, 스테이크 등 서양 음식을 먹을 때 무심코 지나쳤던 식재료가 있다. 언제나 우리의 식사에 참여했지만, 한 번도 주목받지 못한 ‘파슬리’이다. 단순히 장식으로만 쓰였던 파슬리가 가진 놀라운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마녀만 재배할 수 있었던 허브
파슬리는 약 2,000년 전부터 재배된 허브로 역사가 길기 때문에 관련된 이야기도 매우 많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영웅 알케모라스의 피에서 난 풀이기 때문에 죽음의 전조라고 불렸다. 고대 유럽 민속에서 파슬리는 임산부와 마녀만 재배할 수 있었다. 파슬리가 가정에 불운을 가져오고, 다른 식물을 죽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파슬리를 뽑을 때 그 누군가의 이름을 말하면 그 사람이 죽는다는 소문이 있을 정도였다. 15~17세기 가톨릭 종교 재판에 ‘마법’에 사용된다는 이유로 파슬리, 마늘, 회향과 같은 식물이 마녀재판의 증거물로 채택되기도 했다.
지금은 거의 모든 서양 음식에 두루 사용되지만, 고대 그리스 시절만 해도 파슬리는 약이나 향미제로 사용했다. 그리스인들은 파슬리를 이뇨제나 말의 질병을 치료할 때 사용했으며, 요리에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파슬리로 무덤 주변을 장식하거나 경기의 승자에게 씌워주는 화관으로 쓰였다.
약이나 특별한 의식을 치를 때 쓰던 파슬리를 음식으로 먹을 생각을 한 사람은 바로 기록에 따르면 로마인들이 처음으로 파슬리를 요리에 곁들이면서 먹게 됐다. 고대 로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허브 중 하나이며 플리니도 소스, 샐러드 재료에 빼놓을 수 없다고 기록이 남아있다.
그뿐만 아니라 로마인들은 방향제나 기분 전환을 위해 파슬리를 애용했다. 파슬리가 음식 냄새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다. 식탁 주변에 파슬리를 두고 목에 두르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 들어 유럽 전반에서 파슬리를 음식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파슬리 효능
파슬리는 단순히 음식을 꾸미는데 사용하기에 아까운 재료다.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영양성분을 갖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비타민 K1, 비타민 C 함유량이 높다.
비타민 K는 지용성으로 그동안 보충제의 형태로 널리 쓰이지 않아 우리에겐 생소한 비타민이다. 비타민 K1은 피가 멈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 응고 과정에 작용하는 여러 응고 인자들의 발현에 필요한 영양성분이다. 비타민 K1이 부족하면 출혈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비타민 K1은 신체에 잘 흡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몸에서 10%밖에 흡수하지 못한다고 한다. 때문에 더욱 많이 흡수할 수 있도록 올리브오일 같은 지방과 함께 먹는 것이 좋다.
파슬리 100g에는 무려 133mg의 비타민C가 들어있다. 비타민C 하면 생각나는 오렌지보다 3배 많은 양이다. 성인 남녀의 하루 비타민C 권장 섭취량은 100mg이에요. 즉, 파슬리 100g 이면 1일 권장 섭취량을 거뜬히 채울 수 있다.
파슬리에는 비타민C를 비롯한 항산화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항산화 물질의 효능을 강하게 만들어준다.
파슬리의 가장 유명한 효능 중 하나는 뛰어난 이뇨작용이다. 파슬리 잎과 뿌리는 요로 감염, 신장 결석, 방광염이나 부종 등의 질병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소화 장애 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예부터 소화 불량을 치료하는데 파슬리 오일을 사용했다. 파슬리가 담즙 분비를 촉진하고 음식물을 분해해 영양의 흡수를 돕는 작용을 하기 때문다.
사진 픽사베이
메디컬리포트의 새로운 시선이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