씹으면서 심심한 입을 달래줄 껌의 유래

츄잉껌은 천연수지나 합성수지에 향료와 감미료 등을 혼합시켜 만들어 입에 넣고
체온과 타액으로 연화시켜 맛이 녹아 나오게 만드는 것으로 껌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서
일반적인 ‘판껌’과 풍선을 불 수 있는 ‘풍선껌’, ‘당의껌’, ‘무설탕껌’ 등의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껌의 유래는 300년 경 중앙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마야족이 사포딜라의 수액이 굳어진
치클을 씹으며 즐겼는데, 이것이 츄잉껌의 시초로 전해지며 이것이 1860년경 멕시코의
한 장군이 미국의 토마스 애덤스에게 치클을 소개했는데 이것을 가공하여 기존의
파라핀 왁스로 만들어진 츄잉껌을 치클을 넣어서 상품화하게 되었습니다.

같은 시기에 양국을 경영하는 존 콜건은 치클에 향료를 넣어서 만들었는데 이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발전하여 치클에 향료와 설탕, 첨가물을 넣는 것이 고안되어
오늘날과 같은 츄잉껌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츄잉껌은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미군들이 배급받은 껌을
씹으면서 갈증을 해소하는 것을 알아내 미군들에 의해 유럽으로 퍼졌고, 이렇게
점점 유명해져 전 세계 어디에서도 껌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56년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기술로 풍선껌을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원재료의 제한성으로 사포딜라의 수액에서 채취한 치클을 잘 이용하지 않고
합성수지를 이용하는데 이것은 일본에서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